은행에서 인증서를 발급받을 때 보면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 민간인증서 이렇게 3개가 있는데요.
오늘은 그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증서 정리
기존 공인인증서 제도가 호환성과 보안성 문제로 끊임없이 지적을 받다가 지난 2020년 12월 폐지된 이후 현재는 춘추전국시대와 같은 상황인데요.
인증서는 크게 공인인증서가 변경된 공동인증서,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금융인증서, 그리고 자체 사업자가 만든 민간인증서라고 할 수 있는데요.
공동인증서는 온라인상의 안전한 금융거래를 위해 사용하는 사이버 인감증명서로써 전자서명법에 의해 그 법률적 효력이 인정되며, 국가에서 지정한 공동인증기관으로부터 발급된 인증서 입니다.
- 공동인증기관 : (주) 코스콤(SignKorea), 금융결제원(yessign), 한국정보인증(KICA-signgate), 한국전자인증(CrossCert), 한국무역정보통신(TradeSign), 이니텍(INIPASS) 등이 있으며,실물이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저장되는 시스템입니다.
- 1년마다 갱신해야 하고, 가장 사용할 수 있는 곳이 많은 범용적인 시스템입니다.
- 증권과 은행용이 별도로 있습니다.
신한은행 공동인증서 유효기간 갱신을 위해 폐기 후 재발급 받기
그리고 금융결제원에서 출시한 금융인증서가 있는데요. 금융인증서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고 단말기에는 따로 없고, 3년마다 갱신하게 되는 시스템입니다. 다만 이 금융인증서 변경에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여 중소 은행에서는 아직 도입을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2020년대에 비해서는 지원하는 곳이 많아졌으나 아직도 범용성은 떨어집니다.
그리고 이제 민간인증서가 있는데요. 반면 민간인증서는 정부로부터 인증서 발급 자격을 갖췄다고 인정받은 민간 기업들이 발급하는 인증서인데요. 카카오톡, 네이버, NH, 하나인증서,토스, 통신사 Pass, 신한인증서, 페이코, 삼성, 국민인증서 등이 있습니다.
이 역시 금융인증서와 비슷한 형태로 인증하고, 지문인증등 다양한 인증방식으로 인증할 수 있어서 더 편리합니다. 다만 역시 범용성이 많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카카오페이는 카카오에 인증서 사업을 넘기기로 결정했는데요. 올 연말까지 고객사 지원도 끝내기로 했습니다.
2017년 6월 출시된 카카오페이 인증서는 액티브X 논란에 기피 대상이 된 공인인증서 대신 쓰이면서 큰 인기를 끌었는데요. 카카오톡을 통해 모바일 뱅킹이나 청약 등에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각광받았습니다. 하지만 카카오도 후발주자로 인증서 사업에 뛰어들면서 이용자들 사이에서 혼선이 빚어졌는데요. 이에 사업을 철수하고 신규로 또 카카오를 연동하기에는 비용이 들기 때문에 카카오페이 인증서를 사용하는 은행이나 증권은 사업을 포기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처럼 어떤 정부에서 지원하는 것이 아니다보니 사업이 폐업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기존의 연동된 전산망을 전혀 사용할 수 없게 되서 확산하는데 제약이 많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인증서가 시중에 있는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