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윤석열 대통령이 12.3 내란 이후에 처음으로 담화를 진행했는데요.
12.3 내란사태
현재 12월 3일이 발생한 내란 사태의 경우 윤석열 대통령이 진행하였으며, 주요 인물 관계도는 일단 당시 국방부 장관이었던 김용현, 그리고 법무부 장관 박성재, 행안부 장관이었던 이상민,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인 추경호, 그리고 계엄사령관이었던 박안수 등이 참여한 내란사태였습니다.
그리고 이 내란 사태에 대해서 조사 받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이 어제 4번째 대국민담화를 했는데요.
윤석열 대국민 담화
이번 담화는 여야를 비롯해서 좋은 대처는 아니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데요.
요약하면 아래와 같은 이야기를 주로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 대한민국은 거대 야당의 폭거로 국정이 마비되고
행정과 사법의 정상적인 수행이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이제 더 이상은 그냥 지켜볼 수만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뭐라도 해야 하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저는 헌법의 틀 내에서 대통령의 권한을 행사하기로 했습니다’
‘계엄령을 발동하되 그 목적은 국민들에게
거대 야당의 반국가적 해악을 알려 이를 멈추도록 경고하는 것이었습니다’
‘(병력은) 계엄 선포 방송을 본 시민들이 대거 몰릴 것을 대비하여
질서 유지를 하기 위한 것이지
국회를 해산시키거나 기능을 마비시키려는 것이 아닙니다’
대통령 담화 반응
이에 우원식 국회의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오늘(12일) 대국민담화에 대해 “참담하다”고 밝혔습니다.
우 의장은 오늘 입장문에서 “국회에 경고하기 위해 비상계엄을 선포한다는 것은 민주주의 헌정질서에서 절대 용납될 수 없는 일”이라며 “정치적 목적을 위해 민주주의 헌정질서를 파괴해도 된다는 것이고, 국민 기본권을 정치적 목적의 수단으로 삼아도 된다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중앙일보는 이를 반박하는 기사를 냈는데요.
국회 관계자를 출입을 막지 않았다고 햇으나, 곽종근 특전사령관은 국회시설을 확보하고 인원 출입통제를 지시했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국민에 위기를 알려 헌정 질서를 회복한다고 했으나, 구금 시설 체포 지시를 한 정치인이 14명이나 된다고 합니다.
병력 투입은 국회 해산이 아니라고 했으나, 문 부수고 의원 끄집어 내라고 직접 지시했다고 합니다.
실무장하지 않은 병력이라고 했으나, 수많은 사진과 증거처럼 총을 가지고 있었고, 실탄도 휴대했다고 합니다.
여당에서도 한동훈 대표는 반성 아닌 자기 합리화에 불과하다며 당론으로 탄핵 찬성을 하겠다고 언급했습니다. 선관위 역시 대통령 당선된 시스템을 자기부정한다고 논평했습니다.
민주노총은 범죄자의 망언에 불과하다고 언급했는데요.
이번 대통령 탄핵은 바로 내일인데 제발 통과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